■ 건폐율 : 얼마나 넓게 지을 수 있나?
• 건폐율
- 전체 대지면적 대비
건물 1층 바닥면적 비율
위의 예) 면적이 100㎡인 땅 건폐율 30%
= 건물 1층 바닥면적은 30㎡를 넘지못함
• 건폐율을 제한하는 이유
- 도시의 과밀화 억제
- 일조, 채광, 통풍을 위한 공간 확보
- 쾌적한 환경을 조성 목적
- 아파트 동간 거리가 멀어짐
보통 땅값이 비싼 도시 = 건폐율 높음
농림 및 자연환경보전지역 = 건폐율 낮음
■ 용적률 : 얼마나 높게 지을 수 있나?
• 용적률
- 대지면적 대비
건물의 지상층 연면적 비율
위의 예) 100㎡인 땅 용적률 200%
= 각 층의 바닥면적이 50㎡인 건물을
최대 4층까지 지을 수 있음
• 일반적으로 용적률이 높을 경우
건물의 층수를 높이 올릴 수 있음을 의미
위의 예) 건폐율 50%인 100㎡의 땅
- 용적률 300%는 최대 6층
-용적률 100%인 곳은 2층
용적률에 제한이 없으면 땅 주인은
많은 또는 높은 집을 지을 것이기 때문이
정부는 용적률을 제한하고 있음
■ 용적률 : 높다고 무조건 좋지 않음
높은 용적률은 아파트 재건축 시
수익성 악화로 돌아올 수 있음
아파트는 재건축 시
토지 지분을 세대주들이 나눠 가짐
= 세대수가 많을수록
대지 지분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눠야함
따라서 재건축을 고려한다면
용적률이 낮을수록 좋음
예) 용적률이 200%인 아파트는
100%인 아파트에 비해 대지 지분,
즉 자기 땅이 절반밖에 되지 않음
'정보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나스닥 1x 2x 3x 백데이터 CAGR & MDD (1971.02~) (0) | 2021.08.28 |
---|---|
주식 공부하는 방법 (0) | 2021.08.25 |
자녀 적립식 증여팁 (1) | 2021.06.10 |
금리의 종류에 대해 대충 알아보자 2탄(명목금리 실질금리) (0) | 2021.02.15 |
주가 고점에서 나타나는 위험신호들(feat.하워드막스) (1) | 2021.02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