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국내 시황

4.27 미국 시황 및 일정

떡상이 2021. 4. 27. 09:01

주요일정

 

4.27~28 미연준 FOMC

4.27 BOJ 통화정책회의

4.27 미국 CB 소비자신뢰지수

4.27 중국산업이익

4.27 유로존 기업체감지수

4.28 바이든 연설

 

* 시장 : 실적 기대감에 빅 테크가 증시 상승 견인, FOMC 앞두고 채권시장 혼조, 달러 강세

 

* 잇따른 어닝 서프라이즈 속 빅 테크 실적 기대감 고조. 구글 아마존 테슬라 강세

 

* 구리 가격 10년내 최고치, 옥수수 7년 최고치, 비용 우려에 필수소비재, 유틸 하락

 

* 금리 혼조 : FOMC 경계 속 3월 내구재 수주, 독일 IFO 기업환경지수 컨센 하회. 인도 코로나 우려

 

* 실적 기대감 속 성장주(빅테크, 반도체), 민감주(은행,에너지) 강세.

 

* FAANG+테슬라, FOMC, 바이든 연설에 주목

 

* 테슬라를 시작으로 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 개시

- 실적 기대감 속 동반 강세, 장 마감 후 테슬라 어닝 서프라이즈 시현

 

* 상품 가격 상승에 소재주, 광산주가 강세를 보인 반면 필수 소비재, 유틸리티 비용 전가 우려가 커지며 하락

 

* BOJ 정책결정회의 개시, 통화정책 유지 기대감 지배적

 

* 중국

- 중국 증시는 디폴트 우려와 미중 갈등에 위험자선 선호 약세

- 디폴트 관련 우려 지속 화룽자산은 4월말로 제시한 실적 발표 시한을 맞추지 못할 것으로 시사

- 선전시는 5G 산업 육성 위해 100억위안의 발전 기금 조성 5년간 매년 10억 위안씩 투입 예정

 

 

 

미국 중국 증시 PER, EPS 비교

 

 

 

* 주요지표

- 미국 내구재 수주 MoM +0.5% (예상 +2.5%)

- 댈러스 연준 제조업지수 37.3 (전월 28.9)

- 독일 IFO 기업환경지수 96.8 (예상 97.8)

 

 

* 외환

- 달러 인덱스는 4월 FOMC 회의를 앞둔 관망 흐름 속에 최근 이어진 하락세 속도 조절

- 달러/유로는 예상에 못미치는 IFO 경기상황지수에 소폭 하락

- 엔/달러는 미일 금리차 확대 반영하며 상승

 

 

* 채권

- 미 국채 10년 금리는 전일 대비 0.9bp 상승한 1.567%

- 2년물과 10년물 금리 스프레드는 139.9bp로 전일 대비 0.1bp 축소

- 예상을 밑도는 미국 지난달 내구재 수주 발표 후 하락세로 돌아서기도 했으나

 잇단 입찰 수요 약화 소식에 국채 수익률 반등

 

* 원자재

- WTI 전일대비 0.4% 하락한 61.91 달러 마감

- 인도의 코로나 감염자 급증 우려에 유가 하락

- 금 가격은 전일대비 0.1% 상승한 1780.1 달러 마감

- 금가격은 증시 혼 조세로 인해 보합 마감

 

 

 

전일 자산가격 동향

 

 

 

 

 

* 테슬라 컨센서스 상회 하는 실적에도 출하량 가이던스 부재로 주가 하락

- 1분기 매출액 104억달러(+74% YoY), EPS 0.39달러로 컨센서스 부합

 

* NXP 반도체 1분기 실적 컨센서스 부합, 수익성 개선 긍정적

 

* 넷플릭스 디즈니 제치고 "아카데미 7관왕 달성"

 

* 페이스북 CS: 전자상거래 입지 강화 목표주가 상향

- Credit Suisse의 애널리스트는 전자상거래가 활성화 되는 가운데 페이스북 플랫폼의 전자상거래 시장 입지가 강화 되고있다고 강조 목표 주가 371달러로 상향 조정

 

* BP 미국 전력사업자 신청

- 5개 주에 태양광, 풍력, 천연가스 기반 전력을 리테일 고객에 판매할 계획

-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함

 

* 최근 아프리카 태양광 설치업자들 모듈가격 인상 임박 느껴

- 중국의 태양광 모듈 제조업체인 Jinko Solar는 지난달 모듈가격인상을 언급

- 원재료인 폴리가격 상승과 부자재 운임비 상승에 기인

 

* 테슬라 상해 기가팩토리에 배터리, 모터 리사이클링 설비 갖출 계획

 

* 중국

- 메이투안이 알리바바에 이어 반독점법 조사 착수

- 중국은 올해 강도 높은 소비 정책을 시행할 계획인 가운데 오는 5월 부터 자동차 소비 확대 정책을 계획 중임

- 화웨이 스마트카 예약 이틀만에 3천대 돌파

- 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헬로 나스닥 상장 신청

 

 

 

시장 지수

 

 

 

 

 

원자재 (27일 08:57)